여성가족부 가구 대상 지원금 총정리

 


여성 가족부 홈페이지





👀 가정마다 다른 고민, 하지만 모두에게 필요한 ‘복지’

현대 사회는 더 이상 ‘표준 가족’만 존재하지 않습니다.
한부모가정, 다문화가정, 조손가정, 청소년가정 등 다양한 형태의 가족이 공존하고 있어요.

하지만 여전히 많은 분들이 이렇게 말합니다.

“우리 집은 혜택 대상이 아닌 것 같아서요…”
“지원금 같은 건 특별한 사람들만 받는 거 아닌가요?”
“한 번도 알려준 적이 없어서 그냥 넘겼어요…”

👉 그렇지 않습니다!
여성가족부는 다양한 형태의 가족을 위한 맞춤형 지원 제도를 제공하고 있으며, 실제로는 몰라서 신청하지 못하는 분들이 훨씬 더 많습니다.

지금부터 여성가족부가 운영하는 가구 유형별 주요 지원금 및 서비스를 꼼꼼하게 알려드릴게요.




📌 여성가족부의 가구 대상 지원 제도란?

여성가족부는 “여성만을 위한 부처”가 아닙니다.
다양한 가족 형태가 차별 없이 보호받고, 존중받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실질적인 재정 지원, 돌봄 서비스, 자립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어요.


1️⃣ 한부모가정 지원 (기준 중위소득 65% 이하)

✅ 어떤 가정이 대상인가요?

  • 배우자 없이 18세 미만 자녀를 혼자 키우는 부모

  • 혼인신고 여부와 무관 (사실혼 포함)

  • 조손가정(조부모가 손주를 키우는 경우)도 일부 항목 적용 가능

💰 받을 수 있는 지원


항목 금액 및 내용
아동양육비 자녀 1인당 월 20만 원 이상 지원 (기본)
고교생 학비 수업료, 입학금 전액 지원
검정고시 학습비 연 154만 원까지 지원 가능
자립촉진수당 자립 준비 중인 경우 월 10만 원 추가 지급
기타 건강보험료 감면, 주거지원 우선순위 부여 등

🧑‍🎓 실제 사례
“고3 아들을 키우는 워킹맘인데, 양육비 지원 + 학비 지원으로 한 학기 120만 원 가까이 줄었어요.”

 


복지로 사이트 신청하기



📍 신청 방법

  • 주민센터(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 또는 복지로 사이트 온라인 신청
    👉 www.bokjiro.go.kr




2️⃣ 청소년 한부모 가족 지원 (만 24세 이하)

✅ 대상

  • 만 24세 이하의 미혼모/미혼부가 자녀를 직접 양육하는 경우

  • 소득 기준: 중위소득 65% 이하

💰 혜택

  • 아동양육비: 자녀 1인당 월 35만 원

  • 검정고시 준비비, 직업교육훈련비, 상담 및 정서 지원

  • 우선 돌봄 및 자립프로그램 연계

👩 실제 후기
“스무 살에 엄마가 되었는데, 자립이 막막했어요. 센터 도움으로 학습비, 육아비까지 모두 지원받았고 지금은 자립 준비 중입니다.”


3️⃣ 다문화가족 지원 (결혼이민자·중도입국자녀 등)

✅ 대상

  • 국제결혼을 통해 입국한 배우자 및 그 가족

  • 다문화 2세(중도입국 자녀 포함)

💰 주요 혜택


항목 내용
언어발달 지원 다문화 아동 대상 1:1 방문형 언어교육 프로그램
통·번역 서비스 공공기관·병원·학교 동행 통역 지원
가족교육 및 상담 부모교육, 가족 갈등 중재, 자녀 진로 상담 등
취업 역량강화 직업훈련, 자격증 교육, 면접 지원 프로그램 운영



다문화가족 지원하기



📍 전국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방문 신청 또는 전화문의




4️⃣ 조손가정·돌봄공백 가정 지원

✅ 대상

  • 손주를 대신 키우는 조부모 가정

  • 질병, 사망, 이혼 등 이유로 돌봄이 어려운 가정

  • 한부모 또는 장애 부모 가정

💰 지원 내용

  • 상담 서비스 및 자녀 돌봄 매칭 지원

  • 학습지 지원, 정서 지원 프로그램

  • 긴급 의료비, 생계비, 긴급돌봄 연계

📍 건강가정지원센터 또는 지역 가족센터에서 상담 후 신청


5️⃣ 아이돌봄 서비스 (정부 바우처 지원)

✅ 대상

  • 맞벌이 가정, 한부모, 장애부모, 저소득 가정 등

  • 만 12세 이하 자녀를 돌보는 가정

💰 지원 내용


항목 금액/내용
시간제 돌봄 아이 1인 기준 월 최대 80시간까지 지원
정부지원율 소득에 따라 **40%~85%**까지 차등 지원
긴급돌봄제도 갑작스러운 입원, 출장 등 발생 시 즉시 이용 가능



아이돌봄 신청하기



📍 신청 및 안내
👉 ☎ 1577-2514


6️⃣ 청소년가정 및 학교밖 청소년 지원

✅ 대상

  • 청소년가장, 위기 청소년, 학교를 자퇴한 청소년

  • 만 9세~24세 청소년 (지원사업에 따라 다름)

💰 지원 내용

  • 자립지원금 지급 (연간 최대 수백만 원)

  • 검정고시 교재·학습비 지원

  • 심리상담, 진로탐색, 직업훈련 연계

  • 무료 급식 및 멘토링 프로그램 제공



청소년지원센터 지원하기



📍 **청소년지원센터(꿈드림센터)**에서 신청 가능
👉 ☎ 1388 




📊 요약표로 한눈에 보기


구분 주요 지원금 신청처
한부모가정 아동양육비, 학비, 자립수당 주민센터, 복지로
청소년 한부모 월 35만 원 양육비, 자립 프로그램 복지로, 청소년상담센터
다문화가족 언어·통번역, 취업훈련, 가족상담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조손·돌봄가정 긴급생계비, 학습지원, 돌봄서비스 건강가정지원센터
아이돌봄 바우처 시간제 돌봄비 최대 85% 정부 지원 아이돌봄 포털
청소년가정 자립지원금, 교육비, 진로지원 꿈드림센터, 청소년지원센터(1388)

📞 유용한 상담·신청 채널


기관 전화 또는 웹사이트
여성가족부 대표홈페이지 www.mogef.go.kr
복지로 (온라인 신청) www.bokjiro.go.kr
여성긴급전화 1366 ☎ 1366 (24시간 상담 가능)
아이돌봄서비스 ☎ 1577-2514 / www.idolbom.go.kr
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 1388 / www.kyci.or.kr

🧾 신청 전 꼭 확인하세요!

  • 대부분의 지원금은 ‘기준 중위소득’에 따라 대상 여부가 결정됩니다.
    2025년 중위소득 기준표를 미리 확인해보세요.

  • 복지로 사이트에서 내 자격 자동 확인 기능 사용 가능

  • 여러 제도를 동시에 중복 신청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 마무리: 놓치면 정말 아까운 정책, 지금 확인하세요

여성가족부의 가족지원 정책은 당신처럼 일상에 치여 사는 이들을 위한 제도입니다.
지원은 특별한 사람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정보만 제대로 알고 있으면 누구든 신청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 혼자 아이를 키우고 있다면
✔️ 부모 없이 조손가정에 해당된다면
✔️ 청소년 가정이 자립을 준비하고 있다면

👉 지금 당장 여성가족부 지원금 제도를 확인하세요!

다음 이전